유명 유튜버 슈카가 직접 연 빵가게의 '990원 소금빵'이 연일 논란의 중심에 서며 국내 빵 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1,000원도 안 되는 파격적인 가격은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기존 자영업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슈카의 '빵값 실험'…990원 소금빵, 팝업 스토어 인산인해

유튜버 슈카는 빵 가격이 합리적인지 직접 확인해 보겠다는 취지로 팝업 스토어 'ETF 베이커리'를 열었다. 이곳에서는 소금빵과 베이글이 990원에 판매됐으며, 식빵은 1,990원, 복숭아 케이크는 18,900원 등으로 대부분의 빵이 시중보다 저렴한 가격에 책정됐다. 슈카는 재료를 산지에서 직접 조달하고 생산 공정을 단순화해 가격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팝업 스토어는 연일 고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고, 오전에 나온 빵은 매진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자영업자들 거센 반발…"폭리 취하는 것처럼 만들었다"

하지만 슈카의 '빵값 실험'에 대해 자영업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단기간의 실험이 기존 자영업자들이 빵을 비싸게 파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는 주장이다. 한 자영업자는 "저희는 인건비도 월세도 내고 있는데 그렇게 해 버리니까 이제 다른 사장님 같은 경우에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다는 거죠"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소금빵 원가가 1,000원이 넘는데 990원에 어떻게 팔 수 있느냐는 불만도 쏟아졌다.

슈카 "자영업자 비난한 적 없다" 해명 및 사과

논란이 확산되자 슈카는 라이브 방송을 통해 해명과 사과에 나섰다. 그는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또한,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려던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높은 인건비와 유통 구조, 밀 수입 의존도…한국 빵값 비싼 이유

이번 논란은 한국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빵값이 비싼 이유는 높은 인건비와 복잡한 유통 구조, 높은 밀 수입 의존도 등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국내 빵값은 5년 전과 비교하면 40% 가까이 올랐으며, 다른 주요국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식빵 한 덩이 평균 가격이 4,000원대로 전 세계 120여개국 가운데 여덟 번째로 비쌌으며,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스웨덴, 캐나다보다도 한국의 빵값이 더 비싸다는 점이 흥미롭다.

성심당 사례로 본 '가성비' 빵의 가능성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전의 유명 빵집 성심당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성심당은 딸기 시루, 튀김 소보로 외에도 6,000원이 안 되는 가격에 고기가 가득 들어간 '고기 한쌈 샌드위치' 등으로 '빵지 순례'의 명소가 되고 있다. 이는 높은 인건비와 복잡한 유통 구조 속에서도 가성비 있는 빵을 선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슈카의 '990원 소금빵' 논란은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한국 빵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와 자영업자들의 어려움, 그리고 소비자의 합리적인 가격에 대한 기대를 다시 한번 환기시키고 있다.